눈먼 자들의 도시 -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해냄 |
"파리대왕"을 구입할때 흥미위주로 읽으려고 함께 구입한 책입니다. 그런데 의도와 다르게 작품성 있는 소설이더군요.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포르투칼 작가 주제 사라마구의 소설입니다. 얼마전에 영화로 개봉되기도 했죠. 흥행에는 그다지 성공한 것 같진 않지만... 영화관에서 예고편을 수도 없이 봤는데, 그때는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인지도 몰랐습니다. 이제 소설을 다 읽었으니 영화로 감상하면서 소설을 읽으면서 가졌던 생각과 느낌을 되새겨 보려 합니다. 대체로 영화는 소설보다 못하긴 하지만...
이 책을 처음 접했을때 독특한 문체가 생소하게 다가왔습니다. 책의 처음부터 끝까지 적절한 문단 나누기나 대화나 생각을 표현하기 위한 인용부호 등이 전혀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항상 긴장감을 가지고 읽어야 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구입한 "눈뜬자들의 도시" 역시 마찬가지더라구요.
이 소설은 원인을 알수없는, 눈이 머는 전염병에 의해 눈이 멀게된 사람들이 정신병원으로 사용되었던 건물에 격리수용되면서 시작됩니다. 초기에 사람이 적었을때는 나름의 규칙을 정하고 그 것을 지켜나가면서 인간다운 삶을 유지해보려는 노력이 어느정도 힘을 발휘하지만, 시간이 지나 전염병으로 정신병원에 들어오는 사람이 많아질 수록, 그래서 환경이 더 열악해지고 혼란이 가중될수록 인간의 정체성에 대하여 고민해볼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맞이하게 됩니다.
앞서 읽은 소설 '파리대왕'의 윌리엄 골딩과 '눈먼 자들의 도시'의 주제 사라마구가 각각의 소설을 통해 이야기하고자 했던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과 그 결과가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공교롭게도 비슷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소설을 연달아 읽게 되었네요.
'파리대왕'에서 인간다움을 상징한 인물이 랠프였다면 '눈먼 자들의 도시'에서는 눈먼자들을 인도하는, 유일하게 눈이 멀지 않은 의사의 아내가 희망을 상징하는 존재로 등장합니다. 주제 사라마구 역시 윌리엄 골딩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회의를 가지면서도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한 희망의 끈을 놓치고 싶지 않았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